슬기로운 재택근무 생활
현대 사회의 유목 생활은 디지털 노마드로 표현될 수 있다. 첨단 디지털 장비를 갖추고 여러 공가늘 다니며 일하는 사람을 말하며 고정된 업무 공간과 생활 환경에서 벗어나서 인터넷만 연결된다면 어디에서나 자유롭게 일할 수 있는 것이다. 직업과 사는 곳이 빈번하게 변화하고 생활 공간 선택의 다양성이 늘어난 것이다. 전 세대가 이런 흐름에 적응하면서 점점 구매하기보다는 임대 및 쉐어를 선호하고 있다.
더불어 ‘사회적 거리두기’가 장기적인 양상을 보이면서 재택근무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이슈가 대두되고 있다. 집을 업무 공간이나 창작 활동을 펼칠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드는 니즈가 생긴 것이다. 공간을 똑똑하게 활용하고 작업 효율을 높이는 팁을 알아본다.
1. 나에게 맞는 위치 찾기
집마다 작업이 가능한 공간의 모양과 크기는 다르다. 또한 어떤 일을 하고 있느냐에 따른 공간 선정도 다를 것이다. 어디서 언제 작업을 할 것인지를 생각하는 것이 좋다. 만약 일상에 쫓기는 전업주부일 경우, 주방이 중앙 제어 센터 역할로 다기능을 할 수 있는 공간이어야 한다. 그렇지 않다면 일상에서 제외된 느낌을 주는 독립적인 공간을 구성하는 것이 좋다.
2. 수납 공간 확보하기
홈 오피스를 구성할 때 간과하기 쉬운 수납공간은 생산성에 영향을 미친다. 충분한 선반, 서류철 공간등이 확보된다면 업무 효율이 달라질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작업 흐름이 어떻게 되는지 파악이 필요하다. 어떤 물건이 필요하고 작업 중 어디에 두어야 하는지 그리고 끝나면 어디에 둘 것인지를 꼼꼼히 고려해본다.
3. 공간에 유연성 부여하기
독립 공간을 찾기 어렵다면 기존 공간에 유연성을 더해 활용도를 높이는 것이 좋다. 최근 이테리어 스타일에 크게 구애받지 않으면서도 다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리프트 테이블이 인기이다. 좌식과 입식 생활을 같이 사용하는 한국 거실 형태에 적합한 형태로 간단히 노트북을 열고 작업하기에 효과적이다.
4. 채광과 조명
가능한한 자연광이 들어오고 전망이 확보되는 위치가 좋다. 거울을 활용하고 밝은 벽의 공간을 사용하는 것도 방법이다. 천정 조명은 전반적인 분위기를 밝혀주는데에 도움을 주고 책상 조명이나 간접 조명은 업무하는데에 그늘짐이 없는 작업 조명으로의 역할을 톡톡히 해준다.